맨위로가기

아에로플로트 카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에로플로트 카고는 2005년 아에로플로트의 화물 항공 부문 자회사로 설립되어 2006년 운항을 시작했다. 러시아에서 볼가 드네포르 항공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화물 항공사였으며,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12개 도시에 취항했다. 2010년 파산 절차를 신청한 후 모기업인 아에로플로트 산하 화물부로 재설립되었다. 과거에는 맥도넬더글러스 MD-11F 기종을 주로 사용했으며, 서울, 베이징, 상하이, 홍콩, 도쿄, 두바이 등 아시아 및 유럽 주요 도시에 화물 노선을 운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해체된 항공사 - 올림픽 항공
    그리스의 항공사인 올림픽 항공은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가 TAE 그리스 내셔널 항공을 인수하여 설립되었으나, 재정난으로 MIG에 매각된 후 에게 항공에 인수되어 2009년 운항을 종료했다.
  • 2009년 해체된 항공사 - 원투고 항공
    2003년 오리엔트 타이 항공의 출자로 설립된 원투고 항공은 코드 쉐어를 통해 운영되었으나 안전 문제와 2007년 푸껫 국제공항 추락 사고 등으로 제재를 받다가 2009년 파산했으며, 이후 오리엔트 타이 항공 명의로 운항되고 있다.
  • 러시아의 없어진 항공사 - 블라디보스토크 항공
    1931년 설립되어 소련 시기 국내선 운항과 제2차 세계 대전 군수물자 수송에 기여, 이후 국제선 운항을 확대하며 성장했으나 2011년 아에로플로트에 인수된 후 2013년 오로라 항공으로 통합되어 운항을 중단한 러시아의 항공사이다.
  • 러시아의 없어진 항공사 - 타타르스탄 항공
    1993년 설립되어 1999년부터 운항을 시작한 타타르스탄 항공은 러시아의 항공사였으나, 2013년 사고 이후 운항 면허가 취소되어 보유 항공기는 아크 바르스 아에로로 이관되었다.
  • 아에로플로트 - 스마트아비아 항공
    스마트아비아 항공은 1963년 아에로플로트 아르한겔스크 총국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명 변경과 합병을 거쳐 현재 보잉 737 기종을 주로 운용하는 러시아 항공사이다.
  • 아에로플로트 - 포베다 항공
    포베다 항공은 아에로플로트가 2014년 설립한 러시아의 저가 항공사로, 브누코보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하여 러시아 국내선을 중심으로 운항하며 보잉 737-800을 주력 기종으로 운영하고 있다.
아에로플로트 카고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항공사아에로플로트-카고
러시아어 명칭아에로플로트-카르고 (Аэрофлот-Карго)
아에로플로트 카고 로고
아에로플로트 카고 로고
IATA 코드SU
ICAO 코드RCF
콜사인AEROFLOT CARGO
설립일1995년
해체일2010년 4월 5일 (아에로플로트에 합병)
허브 공항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항공 동맹스카이팀 카고
보유 항공기 수3대
취항지 수11곳
모기업아에로플로트
본사모스크바, 러시아
주요 인물올레그 콘스탄티노비치 코롤레프 (총괄 이사)
웹사이트아에로플로트 카고

2. 역사

2005년 아에로플로트의 화물 부문을 담당하는 100% 자회사로 설립되어, 2006년 4월 19일부터 아에로플로트 항공편으로 운항을 시작했다.[1] 러시아에서 볼가 드네포르 항공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화물 항공사였으며,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12개 도시에 취항했다.[1] 2009년 4월 5일 화물기 운항을 중단했고, 2010년 4월 5일 파산 절차를 신청했다. 이후 모기업인 아에로플로트 산하 화물부로 재설립되어 운항하고 있다.[1]

2011년 5월 뮌헨에서 열린 '''에어 카고 유로파'''(Air Cargo Europe영어)에서 스카이팀 카고의 9번째 회원사가 되었다.[1] 2009년 12월까지 아에로플로트 카고는 유럽에서 러시아를 경유하여 아시아로,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정기 화물 운송 항공편을 운항했다.[2]

2010년 4월 5일 회사는 파산을 선고받았고, 파산 절차가 개시되어 항공기는 임대인에게 반환되었으며, 전반적인 운영이 축소되었다.[2]

현재 도색의 MD-11과 구도색의 DC-10


2011년 5월 11일, 아에로플로트 본사가 가맹하고 있는 스카이팀 카고에 가맹했다.[5]

3. 운항 노선

아에로플로트 카고는 2009년 6월 기준으로 다음의 도시들에 취항했다.[5]

아에로플로트 카고의 맥도넬 더글러스 MD-11F 기종이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 착륙한 모습 (2010)


아시아와 유럽 지역의 상세한 취항지는 각각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아시아

다음은 2009년 6월 기준 아에로플로트 카고의 아시아 지역 취항지이다.[5]

국가도시공항비고
中國|중국중국어베이징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上海|상하이중국어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Hong Kong|홍콩영어홍콩홍콩 국제공항
日本|일본일본어도쿄나리타 국제공항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서울인천국제공항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두바이두바이 국제공항


3. 2. 유럽

국가도시공항
핀란드fi헬싱키헬싱키 공항
독일de프랑크푸르트-한 공항
러시아ru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허브
러시아ru노보시비르스크톨마체보 공항
러시아ru상트페테르부르크풀코보 공항
튀르키예tr이스탄불아타튀르크 공항[5]


4. 보유 기종

아에로플로트 카고는 2011년 5월 24일 기준으로 MD-11F 3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4. 1. 폐업 전 보유 기종

아에로플로트 카고는 폐업 전까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였다.[6]

아에로플로트 카고의 보유 기종
기종대수비고
MD-11F3
B737-3Y0F2
일류신 Il 96-400T1
DC-10-40F3일본항공 소속 기체



2006-2009년 도색의 전 아에로플로트 카고 MD-11.


보잉 737-300F


An-12


아에로플로트 카고에 소속된 화물기는 미국제가 많았지만, 러시아제 최신예 일류신 Il-96도 운항했다. 또한 DC-10-40F는 모두 과거 일본항공에서 운항하던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한 중고 기체였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Aeroflot-Cargo Aircraft Performed Today The First Flight Under Its Flag http://www.aeroflot.[...]
[2] 간행물 Airline Reference Federal State Unitary Enterprise "State Air Traffic Management Corporation" 2007-06-01
[3] 웹사이트 "Аэрофлот-Карго" и "Волга-Днепр" померятся емкостями http://www.kommersan[...] Kommersant 2007-03-06
[4] 웹사이트 Cargo branch of Russian Aeroflot goes bankrupt / MosNews.com http://www.mosnews.c[...] 2022-01-26
[5] 웹사이트 Aeroflot-Cargo destinations http://eng.aeroflotc[...] 2009-02-05
[6] 웹인용 Aeroflot Cargo fleet list at planespotters.net http://www.planespot[...] 2012-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